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수술대란으로 국민은 불안한데, 때아닌 연봉 논란으로 번졌습니다.<br> <br>정책사회부 김단비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<br> <br>[질문1] <br>김 기자, 의대 정원 이슈가 의사들의 고액 연봉 논란으로 번진 모양새예요. 갑자기 왜 나온 거예요? <br><br>최근 한 방송에서 나온 서울대 의대 교수의 발언이 발단이 됐습니다. <br> <br>김윤 교수는 2019년에 연봉 2억 남짓하던 종합병원 봉직의 연봉이 최근엔 3억~4억 원까지 올랐다고 이야기했습니다.<br> <br>약 3년 만에 종합병원에 고용된 의사 연봉이 2억 원 가까이 오른 것은 의사 수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취지의 말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대한의사협회는 이 발언을 바로 반박했습니다, <br> <br>[주수호 / 의협 언론홍보비대위원장] <br>"2억 7천~ 2억 8천만 원 정도의 수입이 비난 받아야 될 정도로 많은 월급입니까, 연봉입니까?" <br><br>Q. 2억 8천만원도 낮은 금액은 아닌 것 같은데요. 정부 통계는 없습니까? <br><br>그래서 저희가 찾아봤습니다. <br> <br>3~4억 원 수준. <br> <br>김 교수는 종합병원이 월급을 주고 고용된 의사의 소득이라고 이야기한 거고, 의협은 이 정도면 병원을 직접 차린 개원의 소득 정도라고 주장한 건데요. <br> <br>경제협력개발기구, OECD의 2020년 조사 자료에 따르면 김 교수 주장에 비교적 가깝습니다, <br> <br>당시 봉직의의 한 해 소득은 19만 2749달러, 그러니까 우리나라 돈으로 2억 5천만원 수준이었는데, 4년 전 통계임을 감안하면 이보다 더 올랐을 것으로 보이고요, <br> <br>개원의는 이보다 많은 30만 달러, 우리 돈으로 4억 원을 받는다고 돼있습니다. <br> <br>이것도 4년 전 수준입니다. <br> <br>의료계에선 입맛에 맞게 한 잘못된 조사다, 라고 반발하고 있고요. <br> <br>Q. 그렇다면 국내 직업군과 비교해보면 어떨까요. <br><br>네, 고소득 일자리로 꼽히는 또 다른 직업군은 변호사죠. <br> <br>국세청 종합소득세 신고분을 살펴봤습니다. <br> <br>2021년 기준, 의료업 종사자 연평균 소득은 2억 6900만 원이었습니다. <br> <br>변호사업은 1억 천5백만원이고요, <br> <br>두 직군의 소득 차이가 1억 5천 만원 정도 나는데요. <br> <br>그런데 2014년만 해도 이 둘의 연소득 차이는 7천만 원 정도였습니다. <br> <br>7년 만에 그 격차가 두 배 이상 늘어난 겁니다.<br> <br>의사 소득이 크게 오른 이유를 딱 하나로 설명하긴 어렵지만 김윤 교수는 수년 째 의사 공급이 정체된 것을 이유 중 하나로 꼽은 겁니다. <br> <br>변호사는 2012년 로스쿨 도입 후 700명대에서 1700명대로 늘었지만 의대 정원은 27년 동안 단 1명도 늘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Q. 실제론 얼마를 받아요? <br><br>병원의 위치와 진료과목에 따라 차이가 컸습니다. <br> <br>서울에 있는 한 산부인과병원 모집 공고입니다. <br> <br>월 1550만 원 이상 준다고 돼있습니다. <br> <br>연 2억 원이 조금 안 되죠. <br> <br>반면 의사 구하기 힘든 지방에 경우는 큰 돈을 주고 의사를 모집하고 있었는데요. <br><br>지금 나오는 건 목포의 한 병원 채용 공고인데 내과, 마취통증의학과 봉직의를 구하는 채용 공고에 세후 월 2450만원 이상이라고 돼있습니다. <br> <br>1년이면 3억 원 정도 되고요, <br> <br>오는 7월 개원 예정인 충북 단양군보건의료원은 응급실 근무 경력 5년차 이상 의사를 뽑으며 연봉 4억 2천만 원과 아파트, 그리고 별장 제공의 조건을 내걸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제가 취재한 의사들은 "진료 과목이 무엇인지, 진료 수요가 어떤지, 지역이 어딘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그리고 한마디 더 덧붙이기도 했는데요. <br> <br>"주 80시간 이상 격무에 시달리는 전공의는 월 3, 4백 만원의 박봉을 견디고 있는 게 현실"이라며 무작정 강경 대응 보다는 타협과 설득을 부탁했습니다. <br> <br>네, 여기까지 듣겠습니다.<br /><br /><br />김단비 기자 kubee08@ichannela.com